"격변의 시대에 미래는 지속적으로 배우는 사람들이 상속할 것이다. 배움을 멈춘 사람들은 대개 존재하지도 않는 세계에서 살아갈 채비를 한다." -에릭 호퍼

Posted
Filed under LK_VIEW
모리森泰, 다나카田中 등등.. 이좌식들 이름을 보면

한자라곤 대학 신입생때 "대학국어" 에서 배운 2학점 짜리
한문 실력이 전부인 나에게 도 뭔가 느낌이 오는 글귀들이 있다.

모리(森泰)라는 성은 한문 그대로 뜻을 해석하면 큰숲에서
태어났다는 뜻이고,
다나까(田中)는 밭 중간에서 태어 났단 뜻이다.

왜 이런 웃기고 말도 안되는 성이 생겼을까?

예로부터 일본은 칼잡이가 돌아다니며 서로 약탈하고,
주군 - 검객 라인이 설정되있는 중세 기사 사회와 흡사한
신분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한 영토에 영주가 다른 영토를 정벌할때는 검객 수천이 대동 되었다고도
한다. 이때 이들은 다른 영토 정벌에 앞서 적영토에서 무차별 성폭행을
감행 했다고 한다. -전형적인 씨 말리기 작전으로 요즘 전쟁에서는
거의 사라지고 있지만, 가끔 아프리카의 부족전쟁등, 미개사회에서의
행위가 기사화 되기도 한다.- 저런 영토 전쟁이 수세기에 걸쳐 이루어 졌으며, 아빠없는 애들이 계속해서 태어났지만, 한번 지나간 검객의 이름을
알수 없으므로 가만히 생각해 보면서 이름을 정했다. 아 그때가 밭에서 였나? 산에서 였나? 물위에서 였나? 라고 생각하며. 혈통? 그런게 있을수 있나? 아빠도 모르는 아이에 성은 그렇게 만들어 지기 시작했다.
다나까(田中)가 수상까지 지넨 나라. 참 근본 없어 보인다.

얘들의 이 무식한 이름 짓기는 비교적 최근까지 이여 졌다. 1892년 기록에도 이런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그렇다는 것이다.

이런 아이들이 나고 자라면서 이들은 또 한번 엄청난 짓을 저지른다.
누가 가족인지 모르고 누구의 아들인지 모르는 이들은 서로의 가슴에
칼을 겨누고, 서로의 욕정에 의해 계속해서 반복되는 엄청난 일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얘들이 정상이지 않은 이유중 하나가 분명하다!

이번엔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독도를 지들 땅이라고 올리겠단다.
미친 삐리리들! 태생이 저러니 요상한 생각 밖에 안하지!
에이! 뿌리없는 놈들! 정신 차려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31 11:19 2006/03/31 11:19
Posted
Filed under LK_VIEW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見危授命) -
"이로움을 보았을 때에는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당했을 때에는
목숨을 바치라"
는 뜻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授命)
[字解]
見(볼 견)
利(이로울 리)
思(생각할 사)
義(옳을 의)
見(볼 견)
危(위태할 위)
授(줄 수)
命(목숨 명)

[意義]
안중근(安重根) 의사가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며 뤼순 감옥에서 쓴 글귀로
유명한 말이다.

[出典]
논어(論語)-헌문편(憲問篇).

[解義]
자로(子路)가 인간완성에 대해 묻자 공자가, 지혜,청렴,무욕,용감,예능을
두루 갖추고 예악(禮樂)으로 교양을 높혀야 한다. 그러나 오늘에는 이익을
보면 정의를 생각하고[見利思義],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칠 줄 알고
[見危授命], 오랜 약속일지라도 전날의 자기 말을 잊지 않고 실천한다면
[久要不忘平生之言] 역시 인간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고 답한 구절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글귀는 "정당하게 얻은 부귀가 아니면 취하지 않는
다", "의를 보고 행하지 않는 것은 용감함이 아니다"는 뜻을 담고 있다.
-----------------------------------------------------------------

안중근 의사에 직계 혈통인 난. 이 문구를 가장 좋아한다.
부의 크기가 사람을 판단하는 이시대에,
가장 어려운 것이 이익에 대한 올바른 시각이라 생각된다.

나도 사람이기에 가끔 재산의 크기로 사람을 평가하는 속물 근성을
보일때가 있다. 안그래야 되는데... 왜 이렇게 변해가는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31 10:33 2006/03/31 10:33
Posted
Filed under LK_VIEW


이젠 식상할때도 됐는데 ㅋㅋㅋ;

이놈의 369가 눈에서 벗어나질 않네요 ^^;;

369 메뉴를 따로 만들어야 겠네요

이번엔 주유등이 깜박거리며, 369가 되었네요.

출근길에 차 설뻔 했습니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27 09:46 2006/03/27 09:46
Posted
Filed under LK_VIEW

<어디로 간거야? 내 총알 ㅠ.ㅠ>



예비군 훈련을 갔었습니다.
따뜻한 볕 때문에 따뜻할 줄 알았던 훈련장. 역시나 군복은 추웠습니다.
동영상 교육도 받고, 사격을 했는데...
무려 6발이나 사격을 했음에도,
표적지에는 한발만 덩그라니 있더군요.
총은 칼빈. 625때 쓰던 그총입니다.
아직 교육용탄이 2년치 남았답니다.
그래서 열심히 예비군이 쏴줘야 한답니다.

총이 않 좋은건지 사람이 않 좋은건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24 11:10 2006/03/24 11:10
Posted
Filed under LK_VIEW

<폰카메라라 화질이 영~ 트윈타워앞 공중전화박스>



여의도 트윈타워를 옆을 지나가다 보면 주변 풍경과는

어울리지 않는 공중전화 박스가 있습니다.

흰색이라 이국적이기까지 합니다.

유럽 어느 고즈넉한 언덕이 있으면 꽤나 어울릴듯한 공중전화

박스를 보고서는 신호가 바뀌고서도 한참을 엑셀을 밟지 않았습니다.

뒷차가 빵빵거리더군요.

잠깐동안 이런 생각을 해 봤습니다.

공중전화박스 자체만으로는 너무도 완벽하지만, 단지 주변과 어울리지

않아서 저 공중전화 박스도, 뒷쪽 트윈타워도 즐겁지 않을것 같다는 생각.


사람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사람은 너무나 좋은데, 일로 엮이기 시작하면, 싸우는 부류들이 있습니다.

사석이나, 다른 자리에서는 정말 간/쓸게 뽑아줄 만큼 좋은 사람인데,

업무만 끼면 사람이 달라지는 희안한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그 자리가 안 맞는 사람입니다. 아니면 제가 그럴지도 모르죠.


공중전화 박스를 통체로 뽑아서 몽마르뜨 언덕로 옴길수 없듯이,

제가 싫어 하는 사람들도 회사에 계속 존재 하겠죠?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는 속담 처럼.

언제나 고민의 중심도 제탓이고, 고민의 열쇠도 제 안에 있는것 같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15 08:57 2006/03/15 08:57
Posted
Filed under 일상

<빅쵸이 짱~~ ㅎㅎ>



한국 7: 미국 3

건방지게 심판진들이 삽질하던 미국이 드디어 침몰 했습니다.

기분 같아선 콜드 게임을 생각을 했습니다.

거만한 미국인들, 진주만 폭격이상으로 충격을 받았을거라 생각합니다.

우리 선수들 메이져 리그 연봉이 훌쩍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점심후 계속 윗쪽 화면으로 맞춰 놓고 열심히 응원을 했답니다.

점수 한점 낼때마다 여기 저기서 박수가 들리더니,

쵸이에 3점포때는 다들 일어서서 박수~ 웅성웅성~

역시 단합에는 스포츠 만한게 없네요

한국 화이팅! 이대로 우승까지 했으면 좋겠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14 16:01 2006/03/14 16:01
Posted
Filed under LK_VIEW


오늘 점심땐 쌀국수를 먹었지만,

바쁜 일 탓에 지난번 있었던 피자헉(!) 에 일을

포스팅 합니다; ㅋ 찍은 사진도 있고

가물 가물 하지만, 기억나는 것도 있는지라; ㅎㅎ

진짜 길답니다.ㅋ..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13 13:06 2006/03/13 13:06
Posted
Filed under LK_VIEW
점심 때 롯데캐슬지하 푸드코드에서 밥을 먹었는데.

돈까스가 생각보다 맛있더군요~ 가격도 저렴하고 ^^

왼쪽끝에 한피스는 이미 뚝딱~ ^^



근데 돈까스 전표번호가 "369"~ ㅎㅎ



다들 모여서 음식 기다리는 동안 "369"를 후후후 ^^;

술 없이 하는 369도 잼있네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6/03/08 12:52 2006/03/08 12:52